본 글에서 소개하려는 강의는 케이 무크 내에서도 비학점은행제 과정과 학점은행제 과정 양쪽에서 모두 운영되고 있다. 비학점은행제 과정의 강의명은 <4차산업혁명과 경영혁신>이며 학점은행제 과정에서는 <경영혁신>이다. 두 강의의 내용은 동일하며 참고로 내 경우, 학점은행제 과정을 이용하여 수강하고 있다. 해당 강의는 경영학 전공으로 분류되며, 3학점이다.
<강의 소개>
다음은 케이무크에 올라온 공식적인 강의 소개 및 계획서를 그대로 첨부한 것이다.
"4차 산업혁명과 더불어, 마케팅, 생간, 재무 등 경영의 각 분야가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어떻게 혁신되고 있는지 알아보고 다양한 사례를 익혀 경영 패러다임 변화의 전반에 대해 살펴보고자 합니다.특히, 사물인터넷, 블록체인,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등 최신 정보기술의 개념과 경영 혁신에의 활용 사례를 중점적으로 다룸으로써 4차 산업혁명 시대의 IT 기반 경영 혁신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고자 합니다. "
구체적으로 무슨 내용을 배우는지는 아래 강의계획서를 참조할 것.
주차 | 주제 | 소주제 |
1 | 경영 패러다임의 변화 |
|
2 | 일자리 혁신과 노동시장의 변화 |
|
3 | 빅데이터 |
|
4 | 핀테크 |
|
5 | 블록체인 노믹스 I |
|
6 | 사물 인터넷과 초연결 사회 |
|
7 | 스마트 제조와 서비스 |
|
8 | 중간고사 | |
9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윤리경영 |
|
10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마케팅 |
|
11 | 블록체인 노믹스 II |
|
12 | 로보틱 프로세스 자동화 |
|
13 | 인공지능 |
|
14 | 도전과 과제 |
|
15 | 기말고사 |
<수강평>
전체적인 강의는 다양한 사례를 기반으로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 주신다. 기술의 사례는 대체로 빅테크 기업과 국내 대기업에서 사용하는 4차 산업혁명 기술 위주로 다뤄진다. 아무래도 친숙한 기업의 이름, 친숙한 서비스를 들을 때 이해도 잘 되고 흥미 유발도 될 테니까? 또한 각종 스마트한 기술의 선례뿐만 아니라 기술이 불러올 부작용까지 명암을 함께 다루어주신다는 점에서 종합적인 시각을 기를 수 있게 하는 강의다. K-mooc 내에서도 호평을 받은 명강의인만큼 한 번쯤 들어보는 것을 권한다.
다만 강의 자체는 2021년 최신의 경향을 업데이트하여 설명한다기보다는 비-학점은행제 과정의 자료를 거의 그대로 사용하는 것처럼 보였다. 예컨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암호화폐 강의에서는 비트코인 위주로만 강의하셨고 이더리움, 리플을 비롯한 주요 알트코인들에 적용되는 기술은 다뤄지지 않았다. 이러한 부분은 다소 아쉽긴 하다.
P.s.
후기를 쓰는 5.8일 현재는 10주차 과정이 진행되고 있다. 이번주차 강의의 주제는 마케팅. 기존의 소셜 미디어 마케팅, 블로그 마케팅부터 시작해 블루투스, IoT, 인공지능 등의 기술을 사용하는 상황/맥락 기반 마케팅, 고객이 남긴 리뷰(텍스트 데이터)를 분석하는 감성분석과 이를 시각화하는 워드 클라우드(단어 구름)에 대해 배울 수 있었다.
정상적으로 수료하게 된다면 학점신청을 하는 절차가 남았는데, 수강료는 없이 신청 시 1학점 당 1000원의 수수료만 납부하면 되기에 비용은 아주 저렴한 편이다. (기존의 대학교 평생학습교육원의 수강료가 강좌당 10만원은 가볍게 넘기는 걸 생각한다면) 아무튼 양질의 강의를 들으며 학점을 인정받을 수 있는 경로인 만큼 수강생 입장에서는 더 많은 전공 강의들이 추가되기를 바란다.
K-MOOC 학점은행제 학습과정
cb.kmooc.kr
댓글